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되는 지식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 이직 및 퇴사자의 가이드

by 알면부자 2025. 1. 18.

 

 

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특히 이직이나 퇴사를 한 직장인들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궁금해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다양한 경우에 따라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를 효율적으로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의 차이

연말정산은 직장인이 회사와 함께 진행하며,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반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개인이 직접 모든 소득을 신고하는 과정입니다. 연말정산은 회사에서 처리하지만, 종합소득세 신고는 스스로 준비해야 합니다.


이직한 경우 연말정산

이직은 같은 해에 직장을 옮긴 경우를 의미합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전 회사의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는 경우

전 회사에서 받은 원천징수영수증을 현 직장에 제출하면 두 회사의 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추가적인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전 회사와 현 회사의 소득을 따로 처리하는 경우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지 못하면, 현 직장 소득만으로 연말정산을 진행합니다. 이후 다음 해 5월에 두 회사 소득을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퇴사한 경우 연말정산

퇴사는 12월 31일 기준 소속된 회사가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퇴사 이후 추가 소득이 없는 경우

퇴직 시 중도퇴사자 정산을 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선택사항입니다. 다만, 추가 환급 가능성이 있으므로 필요 시 5월에 신고하여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퇴사 후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퇴사 후 프리랜서나 사업을 시작했다면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합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3. 여러 번 퇴사한 경우

각 직장에서 중도정산을 했더라도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시 유의사항

  • 신고 기간은 다음 해 5월입니다.
  • 원천징수영수증의 결정세액이 0보다 크다면 추가 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 퇴사 후 소득이 다양할 경우 모든 소득을 누락 없이 합산하여 신고합니다.

마무리

이직과 퇴사는 세금 신고에서 중요한 변수입니다. 상황별 절차를 숙지하여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를 차질 없이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