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되는 지식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 및 예상금액 확인 방법

by 알면부자 2025. 2. 12.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및 예상금액 확인 방법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나도 13번째 월급 받을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이 커지죠.

 

하지만 신청한다고 해서 바로 환급이 되는 건 아니에요.

 

그렇다면 연말정산 환급금, 언제쯤 들어올까요?

 

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과 예상 금액 확인하는 법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1. 연말정산이 뭔가요?

 

 

 

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 받은 급여에 대해

 

미리 낸 소득세와 지방 소득세를 기준으로,

 

각종 공제 항목을 반영해 실제 부담해야 할 세금을

 

다시 계산하는 과정이에요.

 

 

 

쉽게 말하면, 1년 동안 번 돈과 공제받을 항목을 따져서

세금을 정산하는 거죠.

 

미리 낸 세금이 많으면 돌려받고, 적게 냈다면 추가로 내야 해요.

 

 


 

2.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

 

출처 - 국세청홈택스 홈페이지

 

 

연말정산 환급금은 바로 조회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국세청 홈택스에서 모의 계산을 해봐야 알 수 있어요.

 

조회 방법

 

1. 홈택스 사이트 접속 (네이버에서 "홈택스" 검색!)

 

2.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3. 작년에 사용한 공제 항목 확인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4. 가족 인적공제 등록 여부 체크

 

 

 

다만,

 

부모님 공제를 받으려면 다른 형제가 등록하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해요!'

 

5. 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모의 계산 실행

 

 


 

3. 환급금 모의 계산 방법

 

 

홈택스에서 모의 계산을 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라가면 돼요.

 

모의 계산 절차

 

 

홈>장려금ㆍ연말정산ㆍ전자기부금>편리한 연말정산>(모의계산) 연말정산 자동계산>2024년

 

 

 

소득 및 납세액 입력

 

 

 

 

연간 소득: 월급 × 12개월 + 보너스/상여금

 

납부한 세금: 소득세(지방 소득세 포함) × 12개월

 

 

 

 

공제 항목 입력

 

 

인적공제, 소득공제, 세액공제 등

 

 

 

최종 결과 확인

 

"(-)로 표기가 되어있으면 추가로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는 뜻인가요?"

 

 

(-)면 환급받을 금액!

 

(+)면 추가로 낼 세금!

 

주의사항

 

비과세 항목 제외하기! 식대, 교통비 같은 비과세 소득은 연봉 계산할 때 빼야 해요.

예: 월급 300만 원 중 교통비 10만 원, 식대 10만 원 포함 → 280만 원 × 12개월 = 연간 소득

 


 

4. 환급금 조회할 때 꼭 알아둘 점!

 

 

모의 계산 결과에서 (-) 로 표시된 금액이 있으면 그게 바로 환급받을 금액이에요.

반대로 (+) 면 추가로 세금을 내야 한다는 뜻이고요.

 

그리고 소득세랑 지방 소득세가 따로 표기되니까

두 개를 합쳐서 최종 환급금이나 납부할 금액을 확인하면 돼요.

 

 


 

5. 환급금은 언제 들어오나요?

 

 

연말정산 환급금은

회사에서 국세청에 신고한 후 정산이 완료되면 입금돼요.

신고 마감이 1월 말이라서

 

입금은 보통 2~3월쯤이에요.

 

입금 예상 시기

 

 

빠르면 2월 월급일!

늦으면 3월 월급일!

최대 3월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어요.

 

회사의 지급 일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까,

작년에 언제 들어왔는지 확인해보면 더 정확할 거예요.

 

 


마무리하며

연말정산 환급금을 확인하려면

 

홈택스 모의 계산을 먼저 해보고, 공제 항목을 꼼꼼히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그리고 환급금이 언제 들어오는지는 회사마다 다를 수 있으니,

 

작년 기록을 참고하면 더 정확하게 예상할 수 있답니다!

연말정산 꼼꼼히 챙겨서 받을 수 있는 환급금,

 

꼭 다 받아가세요!